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🌤️ 중학교 3학년 과학기온, 습도, 이슬점의 상태

    1. 기온의 상태

    기온은 공기의 온도를 말해요. 우리가 더운 날, 추운 날이라고 느끼는 것도 기온 때문입니다.

    기온 상태 설 명
    기온이
    높을 때
    공기 속 수증기의 포화 수증기량이 많아짐
    → 더 많은 수분을 머금을 수 있음
    기온이
    낮을 때
    포화 수증기량이 줄어듦
    → 같은 수증기량이라도 쉽게 포화 상태가 됨

     

    💧 2. 습도의 상태

    습도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상대적인 양을 나타내요.

    • 상대습도 (%): 현재 공기 중 수증기량이 포화 수증기량에 대해 몇 퍼센트인지를 나타냄
    • 절대습도 (g/m³): 공기 1m³에 실제 포함된 수증기의 양
    습도 상태 설명
    상대습도 높음 공기 중 수증기가 많음
     습하게 느껴짐
    상대습도 낮음 공기 중 수증기가 적음
     건조하게 느껴짐

     

    🌫️ 3. 이슬점의 상태

    이슬점은 공기가 냉각되면서 수증기가 물방울로 응결되기 시작하는 온도예요.

    조건 결과
    기온이 이슬점보다
    높을 때
    공기 중 수증기는 그대로 있음
    기온이 이슬점까지
    낮아질 때
    수증기 응결
    → 이슬, 안개, 구름 발생
    밤에 땅이 빠르게
    식을 때
    기온이 이슬점 아래로 내려가
    이슬이 맺힘

     

    ✅ 정리 요약

    항목 정의 상태에 따른 특징
    기온 공기의 온도 높을수록 수증기를 더 많이 머금음
    습도 공기 중 수증기량
    (상대/절대)
    상대습도 높으면 습하게,
    낮으면 건조하게 느낌
    이슬점 수증기가 응결되기
    시작하는 온도
   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떨어지면
    이슬·안개 발생

     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