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새 학기를 준비하다 보면 교복, 학용품, 문제집, 온라인 강의비 등 부담스러운 교육비가 한꺼번에 몰려옵니다.
이럴 때 정부가 지원하는 교육급여 바우처를 활용하면 자녀 교육비 걱정을 확 줄일 수 있어요.
2025년에도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가정의 초·중·고생을 대상으로 교육 관련 바우처가 지급됩니다.
놓치면 1년을 기다려야 하는 제도이니, 지금 꼭 확인하세요!
✅ 교육급여 바우처란?
교육급여 바우처는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 기회 보장을 위해 정부가 현금 또는 포인트 형태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-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대상
- 현금 또는 바우처(카드)로 지원
- 온라인/오프라인 교육 소비에 사용 가능
📌 바우처 형태는 지역별로 다르며, 디딤카드, 신한카드, 농협 체크카드 등으로 지급될 수 있어요.
✅ 2025년 지원 금액은?
구분 | 연간 지원 금액 | 비 고 |
초등학생 | 305,000원 | 현금 or 바우처 |
중학생 | 438,000원 | 현금 or 바우처 |
고등학생 | 654,000원 | + 수업료/입학금 추가 지원 |
※ 금액은 중앙정부 기준이며, 지자체 보조금으로 일부 상향될 수 있습니다.
✅ 바우처로 뭘 살 수 있나요?
교육급여 바우처는 단순한 교육비뿐 아니라 학습 전반에 필요한 모든 것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교재, 참고서, 문제집
- 문구, 학용품, 필통, 가방
- 체육복, 실내화, 교복 보조
- 온라인 강의 수강료 (메가스터디, 이투스 등)
- 도서 (교보문고, YES24 등)
📌 편의점, 대형마트 등 일부 가맹점 사용은 제한될 수 있으니 카드사별 가맹점 리스트 확인 필수!
✅ 신청 방법은?
교육급여 바우처는 매년 신청 필수입니다. 자동 연장되지 않아요!
보통 2~3월 중 집중 신청 기간이 있으니, 이때 꼭 챙기세요.
✔️ 온라인 신청
-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접속
- [복지서비스 신청] 메뉴 → 교육급여 선택
✔️ 오프라인 신청
-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방문
✔️ 제출 서류
- 신분증
- 가족관계증명서
- 학생 재학증명서 (학교 연계 시 생략 가능)
- 소득·재산 확인 서류 (행정망으로 조회 가능)
✅ 꼭 알아야 할 꿀팁
- 👨👩👧 자녀가 2명 이상이면 자동으로 모두 포함 → 따로 신청할 필요 없음
- 📅 사용 기한은 보통 12월 31일까지, 미사용 시 자동 소멸
- 🏙 지자체에 따라 추가 바우처 또는 학용품 키트 제공되기도 함
✅ 마무리 요약
✔ 305,000원부터 최대 654,000원 + 수업료 전액 지원
✔ 교육비 부담이 큰 요즘, 정부 바우처를 적극 활용하세요
✔ 신청 기간을 놓치면 1년을 기다려야 하니 지금 바로 챙기세요!
📌 신청처 바로가기 👉 복지로 교육급여 신청 바로가기
반응형